1. 현재버전 확인하기

docker image의 버전이 lastest라면 도움말에서 현재 사용중인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.
/help

 

2. 업그레이드 계획 세우기

https://gitlab-com.gitlab.io/support/toolbox/upgrade-path

에서  

현재버전부터 올리고 싶은 버전까지 선택

 

summary 와 18.3.1 사이의 … 을 누르면 단계별로 거쳐야하는 버전이 나온다
이렇게....

    각 버전들의 이미지를 미리미리 받아놓는게 편하다. 

3. 컨테이너 교체
    시놀로지 도커에서 기존 컨테이너를 지우고 2번에서 알려주는 다음버전으로 새 컨테이너를 생성한다.
    폴더 경로는 당연히 기존과 같아야 한다.

4. 컨테이너 생성후 시작한지 대충 3-4분 이후부터는 웹 로그인이 가능하다.

5. 관리자 영역 => 모니터링 => 백그라운드 마이그레이션 메뉴에서 Queued에 있는 것들이 완료로 다 가면 컨테이너 종료.
     /admin/background_migrations

6. 2번에서 그 다음버전 확인하고 3번부터 반복.
    2에서 제공하는 각 버전들의 이미지들을 미리 받아놨다면 완료된 이미지는 지우면서 하면 할만하다.

캡쳐는 15.0.5부터로 되어있지만 14부터 올리고 있었는데 15.0.5까지는 얼마 안 걸리길래 우습게 봤더니 15.4.6으로 올리고 있는데 5번이 오래걸리는 꼴이 버전 1개 올릴때마다 대략 30분 걸린다는 말이 허언이 아닌 것 같다. 나스라서 그런지 40분 이상 걸릴때도 있다.
이러다보니 하루 날잡아서 하기 보다는 점심시간이나 퇴근하기 직전에 하나씩 올리는 것이 낫겠다 싶다.

'개발환경 > Git 혹은 Gitla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폴더/파일명 대소문자 구분하는 옵션  (0) 2022.09.02

+ Recent posts